목록2025/04 (7)
한바다

🟦 PC에 접속시 Wnidows10이 2025년 10월 14일에 종료될 예정이니 윈도우11 설치에 대한 알람이 왔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니 Windows11구매 버튼이 있길래 깜짝 놀라 무료업그레이드는 없는지 확인 해 보았다. ✅ Windows 11 무료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 확인 ✔️ 경로 : 설정 > 업데이트 및 보안 > window 업데이트 ✔️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"Windows 11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" 라는 문구가 보이면 업그레이 가능 ✔️ 해당문구가 없다면 "업데이트 확인" 버튼을 눌러 최신상태로 만든 후 다시 확인🖥️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 확인 방법1. PC Health Check 도구 사용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'PC 상태 검사(PC Hea..

✅ 1. C드라이브의 여유 공간 vs RAM(메모리)내PC에서 보면 아래와 같이 분명 14.7GB로 나오는데 윈도우11(현재 내PC는 윈도우10) 무료설치가 가능한지 PC검사를진행해보니 "최소 4GB의 시스템 메모리(RAM)가 있다고 했다. 왜 이런지 궁금증을 가졌는데항목설명💾 C드라이브의 여유공간(14.6GB)하드디스크(SSD/HDD)의 빈 저장공간이다. 파일 저장, 프로그램 설치 등에 사용 된다.🧠 RAM(메모리, 4GB)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사용하는 컴퓨터의 "작업 공간"이다. 용량이 작으면 프로그램 실행 속도나 다중 작업에 제약이 생긴다. 결론적으로 두가지는 전혀 다른 개념 이였다!!!!항목설명💾 C드라이브의 여유공간(14.7GB)하드디스크(SSD/HDD)의 빈 저장공간. 파일저장, 프로그램..

☑️ 톰캣을 설치하려고 한다. 우선 톰캣(Tomcat)은 무엇인가?- 톰캣은 Java Servlet, JSP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웹 서버(Web Server) 이다.- Jav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블릿 컨테이너이다.- Apache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. ✅ 톰캣을 자바 기반이므로, JDK가 먼저 설치 되어 있어야 한다.🔸설치여부 확인 : cmd창에서 아래 코드 입력java -version 🟦 내 컴퓨터에 JDK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톰캣 다운로드를 아래의경로로 설치해 주었다. ✔️ 톰캣 공식 사이트 접속 : https://tomcat.apache.org ✔️ 좌측 메뉴에서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톰캣 버전을 선택한다 ✔️ 선택한 톰..

✅ 자바를 설치한다는 것은 자바 JDK를 설치 한다는 뜻으로 JDK는 Java Developement Kit의 줄임말로 자바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플랫폼이 포함되어 있다. 🔹 여기서 플랫폼이란 자바프로그램이 작동할 수 있는 기반환경이다. 즉 자바에서 플랫폼은 자바프로그램이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환경, 도구, 구조 이다. ✅ JDK에서 플랫폼 구체적은 구성요소 예시는?구성요소설명☕JVM(Java Virtual Machine)자바 프로그램을 실제로 실행해주는 가상머신→ 자바 바이트코드(.class)를 OS 위에서 실행 가능하게 함🧰 Java API 클래스 라이브러리System, Scanner, String, ArrayList 같은 기본 제공 클래스들이 담긴..

📘 톰캣 서버가 정상적으로 시작되지 못한 오류 📘 'Starting Tomcat v10.1 Server at localhost' has encountered a problem.Server Tomcat v10.1 Server at localhost failed to start.✅ 위와 같은 오류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🧩 1. [포트 충돌] 해결 방법1- Eclipse > servers 뷰에서 Tomcat 더블 클릭- 아래쪽의 Ports 섹션 확인- HTTP/1.1의 포트를 8081, 9090 등 다른 숫자로 변경 후 저장 후 서버 재시작!해결 방법2- CMD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해당포트를 종료시킨다! 🧩 2. [이전 실행 기록 충돌] – 캐시 문..

톰캣실행시 오라클 연결 "XE 인스턴스가 리스너에 등록되지 않는 오류가 반복 발생되었다[오류코드]ORA-12514: TNS: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ervice requested in connect descriptor [해결방법]cmd 관리자 권한으로 진행한다① 리스너 재시작 명령어 실행:lsnrctl stop잠시 기다렸다가 다시:lsnrctl start ② 다시 SQL*PLUS 접속 후 인스턴스 재등록sqlplus sys/비밀번호 as sysdbaSqlALTER SYSEM REGISTER;③ 리스터 상태 확인lsnrctl status리스터가 정상적으로 등록 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문장이 보여야 한다!Service "XE" has 1 instance(s). Inst..